• 즐겨찾기 추가
시군협회보
광주시출입
전남도출입
목포시지회
여수시지회
순천시지회
광양시지회
나주시지회
무안군지회
구례군지회
곡성군지회
고흥군지회
보성군지회
화순군지회
담양군지회
장성군지회
장흥군지회
강진군지회
해남군지회
영암군지회
함평군지회
영광군지회
진도군지회
완도군지회
신안군지회
광주광역시, 지역특화 스마트팜 생산성 향상 현장실증 3기 사업 본격 추진

토마토‧고추 재배농가 14곳 ‘스마트팜 현장실습’ 참가
농업기술센터-농가 협약…2년간 현장데이터 수집·분석

2025년 04월 09일(수) 17:35
광주광역시, 지역특화 스마트팜 생산성 향상 현장실증 3기 사업 본격 추진
[대한기자협회 광주전남협회] 광주시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실증사업 확대로 농업인들의 ‘똑똑한 농사’를 돕는다.

광주광역시 농업기술센터는 데이터 기반 스마트농업 확산을 위한 ‘지역특화 스마트팜 생산성 향상 현장실증 3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023년 1기 토마토·딸기, 2024년 2기 가지·고추에 이어 올해 3기 토마토·고추 사업을 4월부터 2027년 5월까지 2년 간 진행한다. 이 사업에는 토마토‧고추 재배 농가 14곳이 참여한다.

농업기술센터와 참여농가는 9일 스마트농업교육관에서 연구협약을 체결하고 사전교육을 진행했다. 이날 교육에서는 실증사업의 추진 절차, 생육조사 요령, 데이터농업연구회 활동에 대한 실무중심 교육으로 진행했다.

협약에 따라 농업기술센터는 농가에 데이터 수집, 품질 관리, 기자재 활용 교육, 재배기술 컨설팅 등을 종합 지원한다. 농가는 생육정보를 수집·분석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들은 이 기간동안 온실에 센서를 설치해 생육 및 환경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생산성 향상 요인을 도출해 현장에 적용하는 실증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농업기술센터는 이 사업을 통해 현장 중심의 데이터농업 역량이 강화되고, 작물별 최적 생육환경에 대한 데이터 기반 기술 축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1‧2기 실증사업을 통해 생육 단계별로 수집된 환경‧생육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배관리를 최적화할 경우 작물 수확량 증대와 품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특히 2기 고추 재배 농가에서는 토양 수분, 온도, 전기전도도(EC) 등 주요 생육환경 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재배 관리로 낙과 방지, 수량 증대 등 효과를 거뒀다.

김시라 광주농업기술센터 소장은 “경험에 의존하던 기존 농업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농업 전환을 적극 유도하겠다”며 “참여농가의 현장 데이터 분석 역량을 높여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기자이름 대한기자협회 광주전남협회
이메일 jgkoreaja@hanmail.net
대한기자협회 광주전남협회의 다른 기사 보기
광주광역시, 2025 광주문화예술상 미술상 수상자 선정
광주광역시, 중소.중견기업 탄소중립 이행 국가지원사업 설…
광주광역시, 여름철 폭염 대비 건설현장 특별 안전점검 시…
강기정 광주시장, 국정기획위.국방부.국회 오가며 광주발전…
광주광역시, 국정기획위원회에 지역발전 14개 과제 건의
광주광주광역시, 모든 시민에게 ‘민생회복 소비쿠폰’ 7…
광주 사직도서관, ‘자녀양육‧독서지도’ 부모교육 …
광주광역시시, 전국 최초 채무조정비용 지원사업 시행
광주광역시, 서남권 첨담 바이오헬스복합단지 조성 포럼 개…
광주광역시, 탄소중립 선도 수소자동차 보조금 상향 조정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상반기 도매시장‧대형마…
광주광역시, 새정부 추경에 핵심현안 994억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