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추가
오피니언
칼럼
독자기고
인터뷰
기자수첩
아파트 피난시설 제대로 알고 사용합시다

여수소방서 화학119구조대 소방장 정온유

2024년 02월 18일(일) 15:27
여수소방서 화학119구조대 소방장 정온유
[대한기자협회 광주전남협회] 우리가 사는 아파트에서 화재가 나게 된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혹 정상적인 출입문, 현관문으로 대피할 수 없게 된다면 어떻게 피난을 해야할지 고민해 본 적이 있었을 것이다. 아무리 좋고 유용한 피난시설이라 해도 사용방법을 모른다면 무용지물일 것이다.

지난 1992년 7월 주택법 관련 규정 개정으로 아파트의 경우 3층 이상의 층의 베란다에는 인접세대로 대피할 수 있는 경량칸막이를 설치하도록 의무화 됐으며, 2005년 이후에는 세대마다 대피공간과 경략칸막이를 선택할 수 있고, 2008년에는 발코니 바닥에서 아래층으로 향하는 피난시설인 하향식 피난기구가 추가됐다.

위 피난시설 중 해당되는 것이 있다면 그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법을 익혀야 한다. 아래 사항을 살펴보고 화재 시 대피요령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첫 번째, 경량칸막이를 통하여 인접세대로 대피하는 것이다. 앞서 말하였듯 1992년 주택법 개정 후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 2000년대 초에 건축된 아파트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발코니 또는 베란다라고 불리는 옥외시설에서 이웃집 벽과 맞닿아 있는 방향에 아무것도 없는 매끈한 벽이 있다면 그것이 바로 경량칸막이이다. 1cm 정도의 석고보드로 되어 있어 화재 등 긴급상황 시 손이나 발로 쳐서 부수고 이웃집으로 대피하면 된다.

두 번째, 완강기를 사용하여 지상으로 대피하는 것이다. 주로 3층에서 10층까지 층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건물 밖으로 지상까지 천천히 내려올 수 있는 탈출 기구이다. 사용방법으로는 지지대를 창 밖으로 설치하고 지지대 고리를 완강기 후크에 건다. 이 때 지상에 장애물이 있는지 등 안전을 반드시 확인해야한다. 완강기 벨트를 가슴부분에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인 후 완강기 릴을 던져 천천히 벽면을 타고 안전하게 내려가면 된다.

세 번째, 하향식 피난구를 사용하여 아래층 세대로 대피하는 것이다. 요즘 신축되어지는 아파트에 많이 볼 수 있는 피난기구로서 별도의 대피공간이나 발코니, 실외기실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방법으로는 먼저 덮개를 개방한다. 이 때 열림방지장치가 있는지 확인해야하며, 개방과 동시에 경보음이 울리게 된다. 그 다음 사다리 고정장치를 눌러 아래층으로 사다리가 완전 펼쳐졌는지 확인 한 후 대피하면 된다.

네 번째, 대피공간으로 대피하는 것이다. 대피공간의 출입문은 불꽃과 연기로부터 1시간 이상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방화문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곳의 위치를 먼저 잘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내부에 적치물을 쌓지 말고 비상용 생수, 수건 등 재난대비용품을 비치해놓는 것이 좋다. 젖은 수건 등으로 문 틈새를 잘 막고 창문을 통하여 구조를 기다린다.
기자이름 대한기자협회 광주전남협회
이메일 jgkoreaja@hanmail.net
대한기자협회 광주전남협회의 다른 기사 보기
소방시설 불법행위 신고하세요.
생명을 지키는 골든타임, 현장응급처치의 중요성을 아시나…
철강산업과 탄소배출, 균형 잡힌 시선이 필요하다
밀폐공간 작업 시 안전수칙 준수하자
장마철 빗길 운전, 안전이 우선입니다
‘모두의 보훈드림’기부 프로젝트
벌들의 계절, 119에 신고해주세요!
안전습관 실천으로 모두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자
비상구는 생명의문입니다
올바른 119구급차 이용 문화, 함께 만들어가요! 폭력 대신…
“장마철,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망종, 그리고 현충일 우리가 잊지 말고 해야 할 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