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추가
시군협회보
광주시출입
전남도출입
목포시지회
여수시지회
순천시지회
광양시지회
나주시지회
무안군지회
구례군지회
곡성군지회
고흥군지회
보성군지회
화순군지회
담양군지회
장성군지회
장흥군지회
강진군지회
해남군지회
영암군지회
함평군지회
영광군지회
진도군지회
완도군지회
신안군지회
영암군, ‘2023년 남해신사 추계 대제’ 봉행

3대 해신제 중 유일 보존, 12인의 제관 국태민안과 무사안녕 기원

2023년 10월 06일(금) 09:44
영암군, ‘2023년 남해신사 추계 대제’ 봉행
[대한기자협회 영암군지회] 영암군과 남해신사제례보존위원회가 5일 시종면 옥야리 마한문화공원에서 지역주민과 기관단체장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남해신사 추계 대제’를 봉행했다.

전남도 지정기념물 제97호인 남해당지에서 열린 이날 대제의 초헌관은 김현재 삼흥그룹 회장이, 아헌관은 김택현 제이씨 특우회장이, 종헌관은 최인옥 영암군발전협의회 회장이 맡아 9인의 제관과 함께 국태민안과 무사안녕을 기원했다.

남해신사 대제는 강원도 양양의 동해묘와 황해도 풍천의 서해신사와 함께 한반도 3대 해신제 중 하나다. 고려시대 1010년 거란이 군사 40만으로 침략하자 현종이 지금 남해신사가 있는 곳으로 피신했다.

몸을 피한 날 밤, 꿈에 백발의 수신이 나타나 무안군 몽탄으로 피하라고 알려 현종은 신변을 보호할 수 있었다. 나중에 현종은 이를 기리는 당을 짓게 하고, 인근 나주·영암·해남·강진·영광·함평 수령들에게 봄·가을로 제사를 지내게 했다.

이런 전통이 현재까지 남해신사 대제로 이어지고 있다. 3대 해신제 중 유일하게 보존되고 있는 남해신사 대제는, 제사 주제자, 시기, 참여 집단, 봉헌물 등을 국가에서 정할 정도의 큰 행사였다.

영암군은 매년 봄과 가을로 나눠 남해신사 대제를 봉행해오고 있다.
기자이름 대한기자협회 영암군지회
이메일 jgkoreaja@hanmail.net
대한기자협회 영암군지회의 다른 기사 보기
영암군, 마한 유적 영암시종고분군 국가지정유산 사적 지정…
영암군, 산림청에 대봉감 낙과 피해 재해 인정 요청
영암군, 해군 3함대 군무원들 배수로 지킴이 캠페인 전개
영암군, 온열질환 감시체계 돌입 예방수칙 준수 당부
영암군, 폭염 대처 긴급 점검회의 개최
(재)영암문화관광재단, 찾아가는 마을 음악회 개최
영암군 도포면, 마을경로당 등 찾아 폭염 피해 예방활동 전…
영암군보건소, 보건복지부 통합건강증진사업 우수기관 선정…
영암군, 제1회 올해의 책 독후감 및 독후화 전국 공모전 개…
영암군, 한전MCS(주) 등과 ‘취약계층 지원 협력기관 복지…
영암군, 발주공사 업체 중대재해 예방 및 안전관리 교육 실…
영암문화관광재단, 로컬 크리에이터와 서울 배움여행 통해…